
올해 3분기(7∼9월) 가계 빚(부채)이 1968조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하지만 6·27 대책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은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3분기 가계신용'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말(1953조3000억원)보다 14조9000억원 늘어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많았다. 다만 분기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던 2분기(25조1000억원)보다 약 10조원(40%) 줄었다. 가계신용은 개인이 은행 등으로부터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을 합한 가계 빚이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 지난해 1분기 3조1000억원 줄었지만, 한 분기 만에 반등한 뒤 올 3분기까지 여섯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3분기 증가폭은 전 분기(24조6000억원) 대비 크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뺀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845조원으로 전 분기 말(1833조1000억원)보다 12조원 불었다. 2분기(+23조6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절반으로 축소됐다.
세부적으로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159조6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1조6000억원 늘었고, 신용대출과 증권사 신용공여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85조4000억원)도 300억원 증가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 가계대출(잔액 1003조8000억원)이 3분기 중 10조1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10조9000억원 늘었지만, 기타대출은 8000억원 뒷걸음쳤다.
상호금융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6조2000억원)도 2조원 불었다. 작년 4분기 이후 네 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증가 폭은 2분기 3조원보다 줄었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25조원)은 1000억원 감소했다.
신용카드 사용분을 포함한 3분기 판매신용 잔액은 전분기 대비 3조원 증가한 122조3000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