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통신 실무회담, 핫라인 설치 방안 집중 논의…김대중 전 대통령 당시 4일 만에 설치 완료
남북 통신 실무회담, 핫라인 설치 방안 집중 논의…김대중 전 대통령 당시 4일 만에 설치 완료
  • 승인 2018.04.07 2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남북 통신 실무회담 / 사진= 뉴시스

남북은 7일 판문점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방위원장 사이의 '핫라인' 설치를 논의하기 위한 통신 실무회담을 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이날 남북의 통신 실무회담은 오전 10시부터 12시50분까지 약 2시간50분간 진행됐다. 우리 측에서는 청와대와 통일부 인사로 구성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운영지원분과위 소속 실무자 3명이 대표단으로 참석했다. 북측 대표단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오늘 회담은 통신을 담당하는 실무자들끼리 이뤄졌다"며 "의제나 참석자 명단 등은 일종의 보안이어서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통신선 구축 등을 위한 남북간 통신 실무자들로만 회담을 진행했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핫라인 통화 날짜는 추후 있을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도출될 예정이다.

이날 실무회담은 문 대통령의 대북특사였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면담 후 합의한 내용에 대한 이행방법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으로 마련됐다.

정 실장은 지난달 6일 기자회견을 통해 6가지 합의사항으로 요약된 방북 결과를 설명하면서 "남과 북은 군사적 긴장 완화와 긴밀한 협의를 위해 정상간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했으며 제3차 남북정상회담 이전에 첫 통화를 실시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회담에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정상회담일인 27일 전에 직접 통화를 갖기로 합의한 것에 따라 통신선을 구축하는 방안과 비화기(祕話機)의 구체적인 설치 장소 등을 집중 논의했던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가 의전·경호·보도와 관련된 실무회담을 앞두고 대표단 명단을 북측에 사전 통보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실무회담 결과에 대해서는 양측이 종합 발표를 하기 전까지는 공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며 "사후에 한꺼 번에 모아서 브리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핫라인은 과거처럼 국정원과 조선노동당 통일전선부에 각각 설치한 뒤 간접적으로 운용하는 방식이 우선 거론된다. 북측 혹은 우리측에서 전화를 걸어 정상의 의견을 전달하는 간접 대화 방식이다.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과 우리 비서실 격인 노동당 본관 서기실에 설치하는 방식도 배제할 수 없다. 필요한 때 두 정상이 직접 통화하는 방식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때도 도입한 적 없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지난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DJ 정부 때는 남북간 핫라인은 수 개의 회선이 존재했으나 청와대에 핫라인 전화는 없었고, 재임기간 남북 정상이 직접 통화한 사실도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

직접 설치하는 방안을 가정한다면 국가정보원에서 이날 회담 때 통화에 필요한 비화기 2대를 가져가 1대를 북측에 건네는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 있다. 

비화기는 도청 등을 피하기 위해 일반 음성 신호를 음어(陰語)로 변환해주는 특수 전화기다. 현재 군에서도 지휘관들이 작전 사항과 관련된 대화는 비화기를 통해 주고받도록 하고 있다.

007 가방에 송수신기와 음어 발생을 위한 특수장비가 세트로 구성된 비화기를 사용하려면 북측과 남측 모두 동일한 모델을 사용해야 한다. 북측 비화기를 받아와 설치하거나 우리측 비화기를 북측이 가져가 설치해야 한다.

남북이 핫라인 설치 일정만 합의하면 실제 설치까지는 그리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 정상간 첫 핫라인을 구축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 때는 4일만에 설치를 완료했었다.

다만 오래 전에 끊긴 통신회선이 완전히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어 복구 작업에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뉴스인사이드 정찬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