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인터뷰]'차이나타운' 김혜수…그녀, 비로소 '대모'가 되다
[SS인터뷰]'차이나타운' 김혜수…그녀, 비로소 '대모'가 되다
  • 승인 2015.04.27 17: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타서울TV 권민정 기자] ‘카리스마’ 김혜수를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단어다. 하지만 ‘차이나타운’에서는 조금 다르다. 지금까지는 여성성을 강조한 ‘날카로운’ 카리스마였다면, ‘차이나타운’ 속의 그녀는 여성성이라고는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묵직한’ 카리스마를 뿜어낸다.

   
▲ 차이나타순 스틸

‘이대 나온 여자’임을 강조했던 ‘타짜’ 속의 정 마담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가만히 앉아서 조용히 상대를 쳐다보는 것만으로 많은 말들을 대신한다. 극 중 유일하게 ‘엄마’ 김혜수에게 대적하는 인물로 나온 고경표(치도 역) 조차 그녀를 감당하지 못한다. 영화 속 그녀는 그야말로 ‘절대자’다.

묵직한 만큼 쉽지 않은 연기다. 자칫하면 우스워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센 척’하는 ‘애송이’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리스크를 직감적으로 알았던 걸까. 김혜수는 이 작품을 선택하는데 참 많은 시간이 걸렸다. 몇 번을 고사했지만, 결국은 김혜수에게로 갔다.

“굉장히 큰 부담이 있었다. 캐릭터의 무게감이라는 것도 있었겠지만, 그것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게 있었다. 굉장히 영화적인 시나리오에 배우로서 매력을 느낄만한 캐릭터임은 분명했다. 근데 뭔가 정서적으로도 무겁고 눌리는 느낌이 있었다.”

“근데 영화 보다가 알았다. ‘아! 엄마라는 인물이 단지 엄마를 연기하는 게 아니라, 차이나타운이라는 그 공간을 방증하는 인물이었구나! 그래서 내가 그렇게 부담스러웠나 보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사실 저는 그렇게까지 정의하고 연기를 시작하진 않았다. ‘엄마’라는 캐릭터만 생각했었다.”

   
 

이어 김혜수는 “신예 연기자들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지 않았냐는 물음을 많이 받는데, 솔직히 제 연기 걱정하기 바빴다”며 웃음을 보였다.

“근데 막상 시작하고 나서는 이 엄마 캐릭터를 조금 더 구체화 시키면서 오히려 그런 부담들이 자연스럽게 없어졌다. ‘아, 그렇지 내가 생각한 게 감독님과 스태프들과 다르지 않았구나’ 이런 일치감 같은 걸 느끼면서 시작해서 힘이 났다. 가속도가 붙었던 것 같다.”

“마우희라는 인물을 화교 2, 3세 정도로 설정을 했다. 마우희가 그렇게 차이나타운에 와서 버려졌건 뿌리내리지 못한 이민자였건, 어쨌든 정체성을 찾기도 전에 생존을 증명해야 하는 상태로 삶을 살아갔을 거다. 마우희라는 사람의 삶이라는 것은 뭐든지 생존이 전제가 되는 거다. 마우희가 자신의 가족, 즉 자신의 조직에 ‘쓸모없어지면 죽일 거야’ 라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김혜수가 캐릭터에 대해 많이 고민한 만큼 내적인 부분도 그렇지만 외적인 부분에서도 그 섬세함을 찾아볼 수 있다.

뽀얀 얼굴을 기미로 덮고, 흡사 인어공주의 마녀와 같은 비주얼의 부서질 것 같은 질감의 흰색 머리, 넉넉한 뱃살, 팔자걸음 등 어디 하나 ‘마우희’스럽지않은 게 없다.

“머리는 실제로 제 머리다. 젊은 시절의 짧은 머리가 가발이었다. 당시에 탈색을 하고 흰머리로 염색을 했다. 또 만지면 부서질 것 같은 느낌을 표현도 했다. 분장할 때는 조금 더 심하게 표현했다”

또 하나 눈에 띄었던 것은 김혜수의 벨트다. 영화 속 ‘엄마’의 망가진 풍채를 표현하기 위해 뱃살을 인위적으로 집어넣었다. 그래서 맞는 벨트가 없어 남성용 벨트를 착용했다. 그런데 오히려 그게 ‘엄마’를 완벽하게 완성시켜줬다. 어떠한 여성성도 찾아볼 수 없는 아름다움에 대한 ‘무심함’이 벨트를 통해서 표현됐다.

   
 

그리고 또 하나의 포인트는 ‘먹방’이다. 하정우의 뒤를 잇는 ‘중화요리 먹방’. 영화를 보고 나온 기자들이 실제로 중화요리를 먹으러 갔다는 이야기도 했다. 새로운 먹방을 노리는 게 아닌가 의심이 된다는 기자의 말에 김혜수는 “그런 건 아니다”며 웃었다.

“생활적인 거는 아주 자연스러워야 하는 거다. ‘차이나타운’에서의 ‘생존’이라는 것은 유일한 키워드이자 목표다. 그런 곳에서 ‘먹는 것’도 생존의 일부로 포함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생존에 관한 것들은 먹는 것도 치열하게, 동물적으로 표현했다.”

실제로 양손잡이인 김혜수는 젓가락질은 왼손으로 한다고 전했다. 오른손으로 젓가락질을 하면 자꾸 흘려 연기할 때는 오른손을 쓰기 힘들다는 것. 왼손으로 중화 요리 ‘먹방’을 하는 김혜수의 모습을 보고 설정이 아닌가 했었다. 아주 사소한 것까지 연출로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누군가가 왼손으로 연기를 하면 ‘왼손잡이겠거니’ 생각하고 넘겼겠지만, 김혜수는 왼손으로 먹는 것만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또는 ‘부여하고 싶은’ 여지를 관객에게 넘겨준다. 김혜수라는 존재 자체가 완벽한 연출로 이루어진 한 편의 영화 같다.

차이나타운 김혜수 / 사진 = CGV아트하우스, ‘차이나타운’ 스틸

[스타서울TV 보도자료 및 제보=sstvpress@naver.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