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AI 메모리 공급 병목 현상 해결할 것"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 기조연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SK그룹은 생산능력(캐파)을 늘리고 기술 개선을 통해 인공지능(AI) 메모리 공급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AI 행사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 나서 “AI 수요 증가 속도가 폭발적”이라며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병목현상)를 해결하는 것이 SK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2회째를 맞은 ‘SK AI 서밋’은 반도체·에너지솔루션·AI 데이터센터 등 SK의 AI 경쟁력을 국내외 기업과 학계에 소개하고 최신 AI 동향을 공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행사다. 올해는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의 ‘AI 나우 앤 넥스트(Now & Next)’를 주제로 열렸다.
그는 세계 데이터센터 투자금액은 지난 5년간 연평균 24%씩 성장하며 올해 6000억달러(약 800조원)에 이르렀다고 짚었다. 오픈AI, 메타 등 여러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들이 밝힌 신규 투자 규모는 이를 상회한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는 초고용량 메모리 칩을 개발하거나 낸드 콘셉트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돌파구를 찾았다”면서 “SK하이닉스 기술력은 업계에서 충분히 증명됐다고 생각한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이어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조차도 우리에게 더 이상 개발 속도 얘기는 하지 않는다”며 “(이는) 우리가 충분히 준비돼있다는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먼저 SK는 최근 오픈한 청주캠퍼스 M15X팹(공장)과 2027년 완공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생산 능력을 늘릴 계획이다.
그는 “용인클러스터에는 커다란 팹이 4개 들어가는 데 1개의 거대한 팹에는 청주 M15X 팹 6개가 들어갈 수 있는 규모”라며 “용인 클러스터가 다 완성되면 24개의 청주 M15X 팹이 동시에 들어가는 셈”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 회장은 “반도체부터 전력, 에너지솔루션까지 제공해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SK는 AWS(아마존웹서비스)와 울산 AI 데이터센터, 오픈AI와 서남권 데이터센터 등 파트너십을 통해 최적 솔루션을 모색한다.
또 SK텔레콤의 업무용 AI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처럼 실제 업무에 활용 가능한 AI 도구를 개발해 선제적으로 사용하며, SK 외부에서도 활용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겠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앤디 제시 아마존 CEO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의 영상 메시지도 공개됐다.
올트먼 CEO는 “SK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한국과 전 세계의 AI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장기적 협력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제시 CEO는 SK와 추진 중인 울산 ‘SK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반도체 성능 개선이 AI 인프라 개선의 필수로 꼽히는 가운데, SK는 아마존의 대표적인 AI 솔루션 확장 파트너”라고 소개했다.
[뉴스인사이드 이은현 기자 ehlee@newsinsid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