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철 재유행과 중국발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주춤했던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일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 증가세가 다시 소강상태에 접어든 데다 중국에서의 급증세가 국내에는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전망에 따른 것이다.
이날 방역 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주까지 확진자, 위중증 및 해외유입 확진 추이를 확인한 뒤 다음 주부터 실내마스크 의무 조정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내 유행 상황은 앞서 정부가 제시한 '조건'을 충족한 상황이다.
지난달 방역 당국이 발표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하는 요건은 ▲주간 환자 발생 2주 이상 연속 감소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전주 대비 감소·주간 치명률 0.10% 이하 ▲4주 내 동원 가능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 50% 이상 ▲동절기 추가 접종률 고령자 50%·감염취약시설 60% 이상 등 4가지다.
정부는 이 중 2가지를 충족할 경우 중앙재난 안전 대책본부 논의를 거쳐 일부 시설을 제외한 실내에서 마스크 의무를 해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참고 지표를 제시하면서도 "절대적인 판단 기준은 아니다"라며 "신규 변이 및 해외 감염 확산 상황에 따른 국내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단기 비자 제한, 입국 전후 코로나19 검사 의무화 등의 조치가 시행되면서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 통제가 되는 상황이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9일 브리핑에서 "중국의 상황이 다행히 지금 정점을 치고 대도시에서 내려가는 추세라서 감염이 더 확산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조심스럽긴 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우리가 예정했던 실내마스크 의무 조정의 일정표대로 갈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우려했던 중국내 신규 변이 출현도 현재로서는 관찰되지 않고 있다.
정 단장은 "위중증 숫자만 어느 정도 안정이 돼서, 이번 주에 증가세가 꺾이는 모습을 본다면 다음 주쯤에는 실내 마스크 의무 조정에 대해서 논의를 정식으로 시작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인사이드 김희선 기자 news@newsinside.kr]